[일요주간=구경회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의 최종보고서 발표와 관련, “대통령으로서 무거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28일 “2015년 한·일 양국 정부 간 위안부 협상은 절차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중대한 흠결이 있었음이 확인됐다. 유감스럽지만 피해 갈 수는 없는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는 역사문제 해결에 있어 확립된 국제사회의 보편적 원칙에 위배될 뿐 아니라, 무엇보다 피해 당사자와 국민이 배제된 정치적 합의였다는 점에서 매우 뼈아프다”면서 “또 현실로 확인된 비공개 합의의 존재는 국민들에게 큰 실망을 줬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합의가 양국 정상의 추인을 거친 정부간의 공식적 약속이라는 부담에도 저는 대통령으로서 국민과 함께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점을 다시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또 한번 상처를 받았을 위안부 피해자 여러분께 마음으로부터 깊은 위로를 전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실이다. 진실을 외면한 자리에서 길을 낼 수는 없다. 우리에게는 아픈 과거일수록 마주하는 용기가 필요하다”며 “고통스럽고, 피하고 싶은 역사일수록 정면으로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자리에서 비로소 치유도, 화해도, 그리고 미래도 시작될 것”이라며 “저는 한·일 양국이 불행했던 과거의 역사를 딛고 진정한 마음의 친구가 되기를 바란다. 그런 자세로 일본과의 외교에 임하겠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역사는 역사대로 진실과 원칙을 훼손하지 않고 다뤄갈 것”이라며 “동시에 저는 역사문제 해결과는 별도로 한·일간의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위해 정상적인 외교관계를 회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피해자 중심 해결과 국민과 함께하는 외교라는 원칙 아래 빠른 시일 안에 후속조치를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위안부 합의 파기에 대해 “합의 파기라는 용어를 지금 쓰기에는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문제는 여러 의견을 수렴하면서 정부가 입장을 정리할 것이고 최종입장을 말씀드리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