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악재에 주식 거래정지, 상장적격성 심사까지…존폐 기로
![]() |
▲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사진=서희건설 제공) |
[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서희건설이 뇌물 공여 및 지역주택조합(지주택) 비리 의혹에 휘말리며 창립 30여 년 만에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김건희 씨에게 고가의 목걸이를 건넨 혐의로 특별검사팀의 수사를 받고 있으며, 동시에 지주택 사업 관련 횡령·배임 혐의로 임원이 구속되는 등 사법 리스크가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서희건설 주식은 거래가 정지됐고,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받게 돼 상장 폐지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 뇌물 의혹과 경영 위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정부는 지주택 사업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특별 점검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서희건설을 지목하며 지주택 사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만큼, 추가 비리 의혹이 드러날 경우 회사 경영에 더욱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때 지주택 사업으로 급성장했던 서희건설은 이제 이 사업의 구조적 문제와 함께 정치, 사법, 행정의 삼중 포위망에 갇히게 됐다.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은 2022년 나토 순방 당시 김건희 씨가 착용했던 반클리프 목걸이를 선물했다는 사실을 특검에 자수했다. 특검은 이 목걸이가 이 회장의 맏사위인 박성근 전 검사의 국무총리실 비서실장 임명과 관련한 청탁성 뇌물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서희건설은 대외 신뢰도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으며, 본사 압수수색 과정에서 증거 인멸 정황까지 포착돼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 지주택 비리 의혹과 정부의 전방위적 압박
서희건설은 2020년 이후 지주택 사업을 통해 급성장하며 시공능력평가 순위를 크게 끌어올렸다. 그러나 이 성장의 이면에는 불법적이고 부정한 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개발 부문 부사장이 14억 원 규모의 횡령·배임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건은 서희건설의 지주택 사업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게 한다. 해당 임원은 조합 측에 뒷돈을 건네고 공사비를 부풀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연이은 악재로 인해 서희건설 주식은 거래가 정지됐다. 한국거래소는 임원의 횡령·배임 혐의를 이유로 서희건설을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지정했다. 심사 결과에 따라 상장 폐지까지 될 수 있어, 회사는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정치적 스캔들과 사업 비리가 동시에 터지면서 서희건설은 경영 불안정성이 극에 달했으며, 건설업계에서는 당분간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모든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서희건설의 미래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안갯속에 놓여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