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를 비롯한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 1일 미얀마 민주 항쟁 1주기를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군부의 시민 학살을 규탄하고 미얀마 민주주의 실현을 촉구하고 있다.(사진=newsis) |
'미얀마의 평화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공동대표 설훈·하태경·심상정, 운영위원장 이용선) 소속 국회의원들과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공동집행위원장 나현필·강인남) 소속 시민활동가들은 2월 3일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역사적 불행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미얀마를 잊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쿠데타 발발 1년이 지났지만, 미얀마 국민의 민주화 열망은 폭력에 의해 짓밟히고 있고 국제사회는 무기력한 대응만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얀마 쿠데타 세력에게 ▲'폭력 중단' 등 아세안과의 5대 합의 이행 ▲정치범 즉각 석방과 정권 이양 ▲국제 구호활동 허용과 구호요원 안전 보장 등을 요구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해 2월 1일 민의에 의해 선출된 국회의원들이 국회를 개원하는 날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에 미얀마 시민들은 보이콧과 파업, 길거리 시위, 무력 저항 등으로 맞서 싸웠다. 쿠데타 세력이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1년간 약 1500명이 사망했고, 지난해 말에는 최소 35명의 양민을 산채로 불태우는 비인간적 행위를 자행했다. 30만명 이상이 난민으로 내몰렸고 올해 약 1400만명이 인도적 지원을 받아야 할 상황이다.
이 단체는 “이 모든 책임은 민 아웅 흘라잉을 필두로 한 쿠데타 세력에게 있다”며 “적법한 선거 결과를 부정하고 불법적인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는 애초에 명분이라 할 것도 없었다. 저항하는 시민들에게 저지른 잔혹한 범죄에 대해 관련자들은 응당한 처벌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쿠데타 세력의 자금줄이 되거나 직접적인 사업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태도에는 여전히 변화가 없다"며 "우선 미얀마 군부의 주요 외화수입원인 가스전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슈웨 가스전 사업의 포스코 인터내셔널, 지분 참여를 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 그리고 이 두 회사에 투자하고 있는 국민연금 등의 공적자금은 수익금이 군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군부 소유 부지에 70년간 운영할 수 있는 포스코 인터내셔널의 양곤 롯데호텔, 미국과 유럽연합의 경제제재를 받은 미얀마경제지주회사(MEHL)와 사업관계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한 포스코강판, 군부와 밀접한 사업적 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의 이노그룹은 참혹한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쿠데타 세력과 관계를 단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를 비롯한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 1일 미얀마 민주 항쟁 1주기를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군부의 시민 학살을 규탄하고 미얀마 민주주의 실현을 촉구하고 있다.(사진=newsis) |
프랑스의 토탈에너지와 미국의 쉐브론은 지난달 21일 미얀마 군부의 폭력과 인권침해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가스전 사업의 철수를 결정했다. 그러나 포스코는 최근까지도 미얀마 가스전 사업은 쿠데타 이후에도 군부와 무관한 사업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침묵하고 있다.
이용선 의원은 "대한민국과 아세안, EU, 유엔 등이 미얀마 시민들과 연대하고 지원을 모색해 왔지만, 많이 부족했다"며 "적어도 기아의 위험과 취약한 방역으로 고통받는 미얀마인들에 대해 국제구호는 가능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주의 경험을 통해 달성한 지금의 자유와 인권, 평화는 이웃 국가 시민사회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연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연대의 끈을 놓지 않고 관심을 이어갈 때 불행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단법인 아디의 김기남 변호사는 “쿠데타 세력의 자금줄이 되거나 직접적 사업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기업들, 즉 포스코인터내셔널이나 한국가스공사, 그리고 이 회사에 투자하고 있는 국민연금 등은 그 수익금이 군부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미얀마 쿠데타를 성찰의 계기로 삼고 우리 사회의 인권 책무성을 높여야 한다”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