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강원도 산불, 강풍·야간 화재 대응 메뉴얼 개선 되지 않아"

이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19-04-09 10:25:22
  • -
  • +
  • 인쇄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현재 진화인력과 장비로는 강원도 산불 대응 불가능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지난 4일 오후 7시경 강원도 고성군 인근에서 불이 시작돼 속초로 번지며 사상 최악의 산불로 기록된 이번 강원도 산불로 인해 수천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가운데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회장 이종화 이하 KSCIA)는 임원진들과 지난 5일부터 이틀동안 강원도 산불재난 관련 간담회를 개최하고 정부에 대해 국가안보차원의 예방대책을 촉구했다.  

 

▲ 화재현장에서 소방헬기가 잔불을 진화하고 있는 모습.

8일 KSCIA는 정부의 신속한 진화 및 복구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현재와 같은 진화체계 시스템 하에서는 이번 사태와 같은 재난이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야간 산불’에 대해 매뉴얼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것. 이번 산불 사태도 마찬가지로 초속 20~30m의 태풍급 강풍에 산불이 발생한 시간대가 야간인 탓에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강풍과 야간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산불이 발생할 경우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KSCIA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진화인력은 진화대와 의용소방대를 포함해 13만여명, 공중진화에 필수적인 헬기는 산림항공 부본 헬기 47대를 포함해 117대에 달한다. 그러나 초속 20~30m 이상의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야간에 산불이 발생하면 진화가 사실상 불가능 한 실정이다.

산림청과 정부기관, 한국 농촌경제연구원·국립 산림과학원 등 연구기관들은 1996년 4월과 2000년 4월에 각각 발생한 고성 산불, 2002년 4월 청양·예산 산불, 2005년 4월 양양 산불 등의 주된 원인으로 강풍을 꼽고 있다. 바람의 세기가 초속 20m 이상으로 불어 헬기 착륙이 불가능 했고 야간에 인력 투입이 쉽지 않은 점 등이 초동 진화에 실패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 지난 3일 강원 인제군 남면 남전리에서 발생한 산불이 진화된 가운데 육군 3군단 예하 3공병여단 장병들이 잔불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

산림청에 따르면 강원도의 경우 백두대간을 포함해 전체 면적의 80% 이상이 산림인데다 봄철 강원도 양양과 간성 사이에 부는 국지적 강풍인 양간지풍(襄杆之風) 영향으로 큰 산불이 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KSCIA는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정부기관들은 매년 4월이 되면 양양과 간성 사이 국지적 강풍인 ‘양간지풍(襄杆之風)’ 또는 양양과 강릉 사이 ‘양강지풍(襄江之風)’으로 산불 재앙을 걱정만 한다”며 “매뉴얼의 개선 없이 방관자적 태도로 산불의 진화에만 진력할 뿐 야간과 강풍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은 소홀히 해왔다”고 지적했다.

현 시스템 하에서는 산불이 소형산불에서 중형산불을 거쳐 피해면적이 30ha 이상이거나, 24시간 이상 계속되는 대형산불이 둘 이상의 시·군·구에 걸쳐 발생하면 시·도지사가 통합지휘하고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발생하면 산림청장이 통합지휘한다. 이 같은 시스템이 강원도의 지리 특성에 맞는 초동진화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KSCIA는 분석했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 산불진화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산림청과 국방부, 환경부, 기상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등의 기관이 근본적 대책 마련에는 소홀하다며 관행적인 매뉴얼에 의존한 문화를 개선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국가재난사태를 방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