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께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서울공항에서 대통령 전용기편에 올라타 출국했다.
공항에는 추미애 민주당 대표와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전병헌 정무수석, 마크 내퍼 주한미군대사대리 등이 직접 나와 문 대통령을 환송했다.
다만 청와대 참모진과 각 부처 장관 등의 이른바 ‘도열 환송’은 없었다. 이는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문 대통령의 지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미국 동부 현지시간으로 28일 오후 워싱턴DC에 도착해 장진호 전투 기념비 헌화를 시작으로 곧바로 3박 5일간의 미국 방문 일정에 들어간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한미 양국 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한미 비즈니즈 라운드 테이블’과 만찬에 참석할 예정이다.
또 오는 29일 오전에는 폴 라이언 하원의장을 비롯한 상·하원 지도부와 간담회를 하고, 저녁에는 트럼프 대통령 내외의 초청으로 김정숙 여사와 함께 백악관을 방문해 정상간 첫 상견례를 겸한 환영만찬을 한다.
문 대통령은 30일 오전 한국전쟁 참전용사를 선친으로 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함께 워싱턴DC 내 한국전 기념비에 헌화를 한 뒤 참전용사 대표들도 만날 예정이다. 이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단독 정상회담과 확대 정상회담을 가진다.
이번 첫 회담에서는 ▲북핵 문제 해결 방안, ▲한미동맹 발전 방향, ▲경제 협력 및 글로벌 협력 심화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문 대통령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자신의 대북정책 구상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얻어 주도권 확보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마친 뒤 양국관계 발전과 주요 현안에 대한 합의사항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기자들에게 정상회담의 결과와 의미를 직접 설명한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문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과 오찬을 갖는 것으로 백악관 공식일정을 마무리한다. 같은 날 저녁에는 미국의 유력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미국의 각계 지도층 인사들을 대상으로 새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방향에 대해 연설한다.
마지막 날인 7월 1일 문 대통령은 동포 간담회에 참석한 뒤 워싱턴D.C를 출발해 2일 저녁 늦게 귀국할 예정이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문 대통령 출국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방미는 문 대통령 취임 후 첫 번째 방미이자 한미 신 정부 출범 이후 양국 정상 간의 첫 만남”이라며 “이번 방미를 통해서 한미 정상간 긴밀한 우애와 신뢰를 구축해 5년간 정상간 수시 통화, 상호 방문, 다자외교 회동 등을 통해 긴밀한 협의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양국 정상 간의 가장 시급한 당면과제인 북핵과 미사일 문제의 평화적,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큰 틀의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허심탄회한 대화가 있을 것이다”면서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가치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이를 통해 외교안보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분야는 물론 글로벌 차원의 협력으로 양국 협력의 폭과 깊이가 다져지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