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구경회 기자]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은 29일 공동교섭단체를 구성에 대한 합의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공동교섭단체 명칭은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약칭 평화와 정의)으로 정했다. 초대 원내대표(등록대표)는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맡기로 했다.
합의문에 따르면 양당은 각 당의 정체성에 따라 고유의 독자적 활동을 보장하고 공동교섭단체 활동은 ‘국회 구성 및 운영’에 대한 공동 대응과 ‘8대 정책공조’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정책 공조는 기존 발표했던 ▲한반도 평화 실현 ▲개헌 및 선거제도 개혁 ▲특권없는 국회와 합의 민주주의 실현 ▲노동 존중 사회와 좋은 일자리 창출 ▲식량 주권 실현과 농업예산 확충 ▲골목상권과 중소상공인보호 육성 ▲검찰과 국정원 등 권력기관개혁 등 7대 과제에서 미투 관련 법안 발의를 포함해 8대 과제로 확장했다.

공동교섭단체의 대표는 양당 원내대표 2인의 공동대표로 하고 공동교섭단체 대표의 국회 등록은 1인으로 한다. 다만 최초의 공동교섭단체 대표는 정의당 소속 원내대표로 하고 이후 교대로 등록하기로 했다.
공동교섭단체의 운영 기간은 교섭단체 등록 시점으로부터 20대 국회 임기가 끝나는 시점까지로 했다.
각 당은 언제든지 공동교섭단체에서 임의로 탈퇴할 수 있고 탈퇴 1개월 전에 상대 당에게 통보해야 한다. 양당은 교섭단체의 안정적인 유지·발전을 위해 책임 있는 노력을 다하기로 했다.
윤소하 정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오는 31일 전국위를 소집해 최종 정책공조과제와 공동교섭단체 구성, 운영 합의 등 내용으로 승인을 받은 뒤에 조인식을 하고 국회에 등록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승인 절차 완료 후 4월 2일 공동교섭단체 등록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