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폭우 피해 복구 지연 속 노조 "무리한 구조조정이 부른 '인재(人災)'" 비판
![]() |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KT구조조정과 노동자 자살, 긴급정신건강실태조사결과 기자간담회' 모습. (사진=KT새노조 제공)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KT의 통신망이 최근 기록적인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가운데, 복구 작업이 지연되면서 내부 인력 운영 방식과 대규모 구조조정의 후과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KT새노조는 지난 25일 성명을 통해 “이번 통신 장애는 김영섭 사장의 무리한 구조조정이 불러온 예견된 사태”라며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했다.
KT새노조에 따르면 지난주 이상기후로 인해 전국적으로 쏟아진 폭우는 KT의 통신시설에도 큰 타격을 입혀, 장애 건수는 평소보다 1.5배가량 증가했고, 피해 발생 이후 일주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완전한 복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KT는 복구 부서가 아닌 다른 부서에까지 내부 메일을 통해 ‘인력 지원 요청’을 보내고 있는 실정이라는 게 노조 측 설명이다.
◇ 노조 “ 수차례 구조조정이 재난 시 통신 인프라에 치명적”
KT새노조는 이러한 복구 지연 사태의 근본 원인으로 “지난해 말 단행된 대규모 기술인력 구조조정”을 지목했다. 당시 김영섭 사장은 약 5800명에 달하는 기술 인력을 줄였고, 이 중 약 2500명은 영업 부서로 전환 배치됐다.
KT새노조는 “그간 수차례 구조조정이 재난 시 통신 인프라에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회사는 효율성과 AI 투자라는 명분 아래 경고를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아현화재 등 과거 사례에서도 통신 인프라 유지에 있어 현장 기술인력의 중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KT새노조는 “이번 폭우 복구 과정에서는 구조조정으로 영업 부서로 강제 배치된 약 2500명의 직원들이 ‘자원’ 형식으로 투입되고 있다는 내부 제보가 나오고 있다”면서 “사실상 강제 차출이며, 회사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영섭 사장을 향해 ▲ 인프라 인력 감축의 위험성을 인정하고, 자회사로 분사된 인프라 기능을 본사로 다시 인소싱할 것을 검토할 것, ▲ 구조조정으로 영업직으로 강제 전환된 직원들로 구성된 ‘토탈영업TF’를 즉시 폐지하고, 해당 직원들을 원래 직무로 복귀시킬 것, ▲ 기후 위기 시대를 대비해 상시적인 통신 인프라 인력 양성과 유지보수 투자를 강화할 것, ▲ 현장에 무리하게 투입된 직원들에게 사과하고, 이번 인력 운영 실패에 대한 책임자를 문책할 것 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국가 기간통신망을 운영하는 공기업의 책무는 단순한 비용 절감이나 AI 투자에 있지 않다. 이번 수해는 경영 무능과 반인권적 인사정책의 결과물”이라며, 구조조정 철회와 인력 재배치를 거듭 촉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