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newsis)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윤석열 정부의 KT 사장 선임 개입 의혹과 이로 인한 장기 경영 공백 사태에 대해 시민·노동단체들이 김건희 특검에 공식 고발하며 수사를 촉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KT새노조, KT민주동지회, 민생경제연구소, 서민중산층 경제살리기연대, 윤석열-김건희 일가 온갖 비리 진상규명 모임 등 6개 단체는 오는 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광화문 KT빌딩 East 앞(김건희 특검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의 불법 경영 개입 정황을 밝히고 관련 진정서를 특검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들 단체는 “KT 경영 공백 사태는 단순한 인사 실패가 아니다”며 “(윤석열) 정부, 여당(국민의힘), 검찰까지 개입된 정권 차원의 부당한 외압”이라고 규정했다.
◇ “사장 낙마, 이사회 붕괴 그리고 ‘용산 낙하산’”
KT는 지난 2023년부터 심각한 경영 공백에 시달려왔다. 공공운수노조에 따르면 당시 KT 이사회는 구현모 대표의 연임을 두 차례 적격으로 판단했지만, 정치적 논란과 국민연금의 반대 끝에 자진 사퇴했다.
KT새노조에 따르면 후임 선임 과정에서 총 34명이 KT 사장 후보로 올랐지만, 여권 출신 인사와 ‘용산 교감설’이 퍼지며 외압 논란이 확산됐고, 결국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추대한 윤경림 후보마저도 20일 만에 돌연 사퇴하면서 KT는 본격적인 경영 마비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어 이사회 사외이사들이 줄줄이 사퇴하면서 KT는 대표이사와 이사회가 모두 공백인 초유의 사태를 맞았고, 이 상황은 약 5개월간 지속됐다는 게 이들 단체의 주장이다.
◇ “KT를 정권의 전리품 삼은 결과, 공공성이 무너졌다”
노조와 시민단체는 “KT는 정부 지분 0%의 민영화된 기업"이라며 "정부가 사장 인사에 개입할 어떤 법적 근거도 없다”면서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과 여당 의원들의 압박이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김영섭 사장이 임명됐다. 김 사장은 대통령실 핵심 인사의 후배로 알려졌으며, 이후 KT 내부에는 정치권, 검찰 출신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다”고 꼬집었다.
이들 단체는 대표적인 낙하산 인사로 ▲윤정식 KT텔레캅 사외이사(윤 대통령 고교 동문) ▲임현규 경영지원부문장(이명박 정부 특보 출신) ▲이용복 법무실장(박근혜 특검 당시 윤 대통령과 공조) ▲최영범 KT스카이라이프 사장(전 홍보수석) 등을 지목했다.
이어 “KT는 단순한 민간 기업이 아니라 국가 통신 인프라를 책임지는 공공적 기업”이라며 “정권이 낙하산 인사를 내려 보내며 기업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건희 특검에 ▲윤석열 정부의 외압 정황을 투명하게 수사하고 관련 자료를 전면 공개할 것, ▲쌍방울-김성태 자금 연루 의혹, ‘밀리의 서재’와 김건희 여사 가족 관련설 등 자산 불법 매각 가능성도 전면 조사할 것, ▲향후 정권 낙하산 근절을 위한 법·제도 마련을 추진할 것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
끝으로 이들 단체는 “이번 사태는 통신 공공성과 기업 자율성, 나아가 헌정 질서를 침해한 중대한 사안”이라며 “KT의 정상화를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