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테슬라 차량이 주행중인 모습. (사진=newsis)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전기차 대표 브랜드 테슬라가 국내에서 또다시 소비자 불만에 휩싸였다. 2021년식 모델3과 모델Y 차량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경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충전이 절반 이상 되지 않는 문제가 드러난 것이다. 이에 소비자단체는 “테슬라가 원인을 공개하고 전면 리콜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약 2000대 이상 충전 제한으로 불편…수리 불가능, 고액 교체만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자동차소비자위원회(부위원장 최영석, 이하 소비자주권)는 지난 19일 성명을 통해 “테슬라가 배터리 결함 의혹에도 문제를 축소하며 소비자에게 고액의 교체 비용을 떠넘기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문제가 발생한 차량에서는 ‘BMS_a079’ 경고가 뜨면서 충전이 50%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주행 가능 거리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어 일상 운행에 제약이 크고, 중고차 가치 하락까지 우려된다는 게 소비자주권의 지적이다.
국회 박상혁 의원실이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모델3(4만 3621대 판매) 가운데 846대, 모델Y(6만 8088대 판매) 가운데 1234대가 동일 증상을 보였다. 최소 2080대 이상 차량에서 문제가 확인된 셈이다.
BMS는 배터리셀 전압과 온도를 관리해 화재 위험을 줄이는 핵심 장치다.
소비자주권은 “이번 경고는 단순 오류가 아닌 ‘셀 불균형’이나 구조적 결함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더 큰 문제는 배터리를 부분 수리할 방법이 없어 전체 교체만 가능하다는 점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증이 끝난 차주는 교체 비용만 2000만~3000만 원을 부담해야 하며, 보증이 남아 있어도 ‘재생 배터리’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아 불만이 커지고 있다”며 “심지어 교체 후에도 동일 문제가 반복된 사례까지 보고됐다”고 덧붙였다.
◇ 소비자주권 “국토부·테슬라 모두 책임 있는 조치 필요”
지난 8월에는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 ‘테슬라 배터리 무상 리콜’을 요구하는 청원이 올라와 한 달 만에 1만 4000명 이상이 동의했다. 테슬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집단행동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충전 제한이 안전사고로 이어질 우려는 낮다”며 조사·리콜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소비자주권은 “문제는 BMS의 경고창이 아니라 경고가 나타나게 된 원인인 제작결함”이라며 “화재 위험까지 간과한 소극적 대응”이라고 반박했다.
소비자주권은 국토부에는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을 통한 철저한 원인 조사와 결함 확인 뒤 강제 리콜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으며, 테슬라에는 BMS 경고 원인의 투명한 공개와 자발적 전면 리콜 실시, 이미 교체 비용을 부담한 소비자에 대한 보상, 그리고 부품 공급 개방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충전 불편이 아니라 국민 안전과 직결된 제작결함 문제”라며 “정부는 즉각 조사와 강제 조치에 나서야 하고, 테슬라는 자발적 리콜과 보상을 통해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