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시민회의, IMF외환위기 때 공적자금 투입 회생...금융소외계층 위한 사회책임금융 획기적 증대 필요
![]() |
▲KEB하나은행 본점.(사진=newsis)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한 소비자단체가 최근 5년(2016-2020) 간 자산규모 300조 원 이상인 6대 시중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을 대상으로 사회공헌 및 사회책임금융 지출 등 사회공헌 실태를 조사한 결과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금액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NH농협은행(8.7%)이었으며 최하위는 KEB하나은행(4.1%)으로 나타났다.
8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이하 소비자주권)는 이 같은 조사를 진행하게 된 배경에 대해 최근 시중은행들이 손쉬운 예대마진을 통해 수조 원의 이자수익(전체수익의 80% 이자부문)을 창출하고 있있는 만큼 사회공헌에 얼마나 이바지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됐다.
소비자주권은 “IMF외환위기 이후 부실금융기관을 살리기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은 현재 총 168조 7000억 원이며 이중 절반 가량인 86조 9000억 원이 시중은행에 지원됐다”며 “결국 국민의 혈세인 공적자금을 통해 시중은행이 회생됐으므로 시중은행은 사회적으로 공공성을 띠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최근 5년 간 시중은행의 사회공헌 및 사회책임금융 지출 등 사회공헌 실태를 조사해 시중은행이 사회적 역할을 어느 정도 하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금융기관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
![]() |
▲자료=소비자주권시민회의 제공. |
해당 보고서의 세부적인 조사내용은 살펴보면 전국은행연합회가 매년 발간하는 은행사회공헌활동보고서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근거로 6대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2016~2020년 최근 5년 간 △사회공헌 금액,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금액 비율, △일반대출금 대비 사회책임금융 비율 등을 조사했다.
우선 사회공헌 금액의 경우 평균금액 기준으로 KB국민은행 1410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IBK기업은행 879억 원으로 가장 적었다. 시중은행의 전체평균 사회공헌금액은 1162억 원이며 각 은행 평균금액은 KB국민은행 1410억 원, NH농협은행 1347억 원, 신한은행 1264억 원, 우리은행 1109억 원, KEB하나은행 965억 원, IBK기업은행 879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6개 은행의 총액을 보면 2016년 2963억 원에서 2019년 9284억원으로 늘었다가 2020년에는 8828억원으로 감소했다.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금액 비율을 보면 전체평균 5.8%였으며 이 중 NH농협은행이 8.7%로 가장 높았다. KEB하나은행이 4.1%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금액 각 은행비율은 NH농협은행 8.7%, 우리은행 5.8%, 신한은행 5.7%, IBK기업은행 5.6%, KB국민은행 5.1%, KEB하나은행 4.1%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주권은 “사회공헌 금액은 절대금액도 중요하지만 해당은행의 당기순이익 중에서 얼마를 사회공헌에 지출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일반대출금 대비 사회책임금융 비율은 전체평균 3.8%였으며 신한은행이 5.9%로 가장 높았고 NH농협은행이 2.5%로 가장 낮았다.
각 은행비율은 신한은행 5.9%, 우리은행 4.6%, KEB하나은행 4.2%, KB국민은행 3.4%, IBK기업은행 2.8%, NH농협은행 2.5% 순으로 나타났다.
각 은행들은 저소득, 저신용층의 경제적 자립 기반을 지원하고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서민대출 지원 등 사회책임금융을 시행하고 있다.
소비자주권은 “IMF외환위기 시 국민의 혈세인 공적자금을 통해 회생한 시중은행은 사회적 역할이 필요하며 이는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책임금융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며 “각 은행들의 사회책임금융을 일반 대출금(가계대출, 기업대출)과 비교한 결과 일반 대출금 대비 사회책임금융 비율은 전체평균 3.8%에 지나지 않다”고 밝혔다.
소비자주권은 이 같은 조사결과를 근거로 사회적책임을 다하기 위한 시중은행의 역할과 관련 △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사회책금융의 획기적 증대 필요 △ 다양한 금융지원 및 비금융지원을 통한 사회적 책무를 제안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