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5월 22일 인천 서구 소재 한 학교에서 실시된 소방안전훈련 모습.(사진=newsis) |
[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최근 산업현장에서 대형 화재가 잇따라 발생해 사상자가 속출하면서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학교의 경우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나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학교가 전국에 총 13개교인 것으로 조사됐다. 충북·전남에 각각 4개교, 서울 2개교, 강원 2개교, 전북에 1개교가 있었으며 대부분 진입로 협소로 인해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이 교육부와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방차 진입 불가 학교’는 총 13곳이다. ‘교육시설법’ 개정(‘21.12.28.) 및 ‘교육시설 등의 소방시설 실태조사에 관한 규정(교육부 고시)’ 제정(2022.6.29.)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 9월부터 12월까지 교육부와 소방청이 총 2379곳에서 합동 및 단독조사를 실시해 제출한 자료이며 5년 계획으로 전수조사를 마칠 계획이다.
전용기 의원은 “이번 발표는 5년 계획 중 전국에 있는 학교 약 20%만 점검한 결과로 진입불가 학교의 숫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며 “이번 밝혀진 14곳은 이전까지 샘플링 조사돼 발표된 5곳과 비교했을 때 1곳만 개선되고 9곳이 늘었다”고 밝혔다.
문제는 학교 화재가 줄어들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학교 화재는 총 556건으로 매년 100건 이상 꾸준히 발생했고 초등학교가 그중 최다인 41%를 차지했다.
전용기 의원은 “학교 화재가 해마다 100건 이상 발생하고 있고 화재 인명피해가 매년 늘고 있다”며 “위급상황 시 길이 좁거나 장애물 때문에 소방차가 학교에 못 들어가는 경우가 없도록 해당 교육청은 조속히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