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 후보에 소상공인 대상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와 금리인하 등 적극적인 금융지원정책 요구
![]() |
▲사진=newsis. |
[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경기침체와 고금리에 시름을 앓고 있는 소상공인들이 코로나19 때 받은 대출 상환 압박에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서 금융위원회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 상환유예 지원 추이'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코로나19 소상공인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 상환유예 대상 대출'의 차주가 29만 명, 잔액 61조 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만기연장 대출의 차주는 28만 6100명, 잔액은 57조 9200억 원으로 집계됐으며 2025년 9월에 만기가 도래한다. 즉 내년 9월까지 소상공인 약 29만 명이 약 58조 원을 상환해야 한다.
또한 원금·이자 상환 유예 대출잔액의 차주 3500명, 잔액은 2조 7600억 원으로 2028년 9월까지 상환이 유예된다.
이에 강민국 의원은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의 여파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설상가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 등으로 인한 국제적인 경기불황과 고금리로 어려운 상황에 봉착하고 있다”고 상기시키며 “내년 9월까지 코 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종료에 따른 만기도래로 소상공인 29만 명이 무려 58조 원을 상환을 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위기가 가중되고 있다”고 안타까움과 우려의 뜻을 표했다.
강 의원은 “2020년 4월부터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에 대한 상환유예 제도’가 5차례 연장 시행됐지만 아직도 차주 29 만 명, 대출잔액 약 61조 원 남아있다는 것은 그만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지적하며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 후보자에게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에 대한 상환유예’를 한번 더 실시함은 물론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과 협의해 금리인하 등 적극적인 소상 공인 대상 금융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