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사내하청 노동자 폭력 진압 후폭픙...“원청 포스코, 사회적 합의” 촉구
이용빈 “포스코 사내 하청 대표들 중 70~80% 포스코 출신...자리 보전 급급”
![]() |
▲ 7일 광양제철소 앞에서 열린 ‘경찰 폭력 만행 규탄 한국노총 긴급 투쟁결의대회’ 현장 모습.(사진=일요주간 DB) |
[일요주간 = 김성환 기자] 경찰이 지난달 31일 오전 고공농성 중인 포스코 사내 하청노동자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경찰봉을 휘두르는 등 물리력을 사용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노동존중실천단 소속 이용빈 의원은 7일 광양제철소 앞에서 개최한 한국노총 긴급 투쟁결의대회에 참석해 정부의 노동 탄압을 규탄하고 원청인 포스코의 사회적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
이날 광양제철소 앞에서 열린 ‘경찰 폭력 만행 규탄 한국노총 긴급 투쟁결의대회’에서 한국노총 산별 노조 조합원 1500여 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고공농성을 벌이던 한국노총 금속노련 사무처장의 머리를 곤봉으로 내리쳐 긴급 호송된 사실에 분개하며 경찰의 유혈 폭력 진압을 비난했다.
대회에 참석한 이용빈 의원은 SNS 를 통해 “하청 노동자의 설움이 가장 많았던 곳이 바로 포스코 사내 하청, 포운 노사분쟁의 현장으로 알려져 있다”며 “포스코 사내 하청기업 대표들 중 70~80%가 포스코 출신 OB 들이라 ‘자리 보전’에 급급하기보다 하청 노동자의 노동권보장에 우선할 것을 촉구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회사나 다를 바 없는 하청업체에 책임을 떠넘기는 행태를 더는 반복해서는 안된다”며 “포스코 사내하청 포운노사와의 사회적 합의 이행 여부를 끝까지 지켜보며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포스코는 사내 하청회사에서 부분파업이 진행되자 대체인력을 투입하고 노조원에 대한 임금삭감 내용을 고지하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하는 등 노조 탈퇴를 종용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포스코는 역사적 ‧ 사회적 책임을 잊지 말고 경찰의 노동자 탄압과 폭력 진압에 대해서도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며 “원청 포스코의 책임회피와 하청사 포운의 교섭 해태, 부당노동행위를 즉각 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민주당은 ‘노란봉투법’의 국회통과로 포스코 사내하청 포운노동자들의 설움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힘쓰겠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노동자들과 함께 투쟁하겠다”고 다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