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대 진현석 교수팀, 골다공증 관여 유전자 ‘UBAP2’ 세계 최초 규명

김성환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1 13:36:54
  • -
  • +
  • 인쇄
향후 골다공증 치료제 개발 및 조기진단에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전망
▲ 호서대 진현석 교수.(사진=호서대학교 제공)

[일요주간 = 김성환 기자] 호서대학교(총장 강일구) 임상병리학과 진현석 교수팀이 골다공증에 관여하는 유전자 ‘UBAP2’를 발견했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유전자의 뼈항상성(bone homeostasis) 유지에 대한 역할과 골다공증 진단 바이오마커로서의 임상적 유용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는 쾌거를 이뤘다.

진현석 교수팀 논문은 국제저명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7.7) 6월 20일 자에 게재됐다.

 

이번 성과는 호서대, 아주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립보건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낸 것으로 향후 골다공증 치료제 개발 및 조기진단에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호서대학교 임상병리학과에서 인체질환유전체 특성화교육을 수년 간 진행하고 있는 진현석 교수와 김성수 연구원(호서대 석사)은 한국인 유전체 역학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장 유전체 분석(Genome-wide association study)과 세포모델 연구, 제브라피쉬 동물실험, 임상시험을 수행해 왔으며 그 결과 이번 연구에서 UBAP2 유전자가 뼈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게 된 것이다.

호서대 임상병리학과는 2019년부터 특성화지원사업 일환으로 국내 대학 최초로 인체질환 유전체 분석 전문가 과정인 ‘유전체분석가 양성사업단’을 운영해왔으며 이로인해 지속적인 논문 발표와 함께 국내 유수의 유전체 전문기업과 분자진단 및 유전체 검사 의료분야로의 취업이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진현석 교수는 “호서대 임상병리학과는 유전체연구동아리 운영으로 AI 시대에 필요한 유전체 분석 능력을 갖춘 임상병리사를 육성하고 있고 임상생리검사 전공 고도화로 학생들이 직접 심장초음파 검사 등의 생리검사를 할 수 있는 실습환경을 갖추어 매년 20% 이상이 임상생리검사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호서대 임상병리학과는 미래 바이오산업을 이끌어갈 GLP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내 최대 민간 CRO기관인 코아스템켐온㈜ 등과 표준현장실습학기제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GLP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