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현대엘레베이터 제공) |
[일요주간 = 엄지영 기자] 현대엘리베이터가 2024년 한 해 동안의 탄소 배출 60% 감축, 제품 생애주기평가(LCA) 최초 공개, 장애인 일자리 창출 등 주요 성과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담은 ‘2024-25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를 발표하며 글로벌 수준의 지속가능경영 강화 의지를 밝혔다.
1일, 현대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에서는 특히 환경 분야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현대엘리베이터는 2022년 대비 총 온실가스 배출량을 60% 감축했으며, 전년 대비 12.4% 감소라는 구체적인 수치도 보고서에 담았다. 공장 지붕은 물론 주차장 등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를 확대하고 전사적인 탄소 저감 활동을 추진한 성과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제품 전과정에 대한 환경생애주기평가(LCA)’의 최초 공개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현대엘리베이터는 제품 설계부터 생산,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수치화해 발표했다. 이는 향후 친환경 제품 개발의 기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해외법인과 자회사를 포함한 종속법인의 환경 데이터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는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폭넓은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고 ESG 활동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회 분야에서도 다양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장애인 합창단인 ‘오르락합창단’을 창단했으며, 지난해에는 장애인 바리스타를 채용해 사내 복지 카페를 여는 등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역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비내섬’ 외래식물 제거 활동 등 다양한 봉사와 기부, 후원으로 상생의 기업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
기업지배구조(G) 부문에서도 개선이 착실히 진행 중이다. 집중된 날을 피해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을 분산했고, 내부감사기구의 분기별 회의 운영 등 내부통제 체계도 강화했다.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이사회가 배당 기준일을 직접 정할 수 있도록 해 선배당·후투자 방식을 도입할 기반도 마련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속가능경영을 경영의 핵심 원칙으로 삼고, 환경·사회·지배구조 각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수준의 ESG 경영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엘리베이터는 2022년 ESG 경영을 본격화하며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선포한 바 있으며, ‘이사회 독립성 강화’ 등 지배구조 개선, ‘포용적 조직문화 정착’, ‘지역사회 연계 사회공헌활동’ 등 다양한 ESG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