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취재] 대학 축제서 '장기기증 생명나눔' 캠페인...생명 사랑의 소중함 전하다

이수전 기자 / 기사승인 : 2018-05-10 14:55:21
  • -
  • +
  • 인쇄
계명대 의대생들 장기기증 캠페인 통해 생명사랑의 소중함 전해
네팔 LRI School 학생들의 방문을 통해 국제적인 교류의 폭 넓혀
계명대 의과대학 학생들이 대학 축제에서 '장기기증 생명 나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계명대 의과대학 학생들이 대학 축제에서 '장기기증 생명 나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일요주간=이수전 기자]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의미 있는 축제를 개최했다.


계명대 의과대학 제34대 학생회(회장 박현빈)는 대학축제 기간 중 9일 하루,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에서 장기기증 캠페인을 펼쳤다.


캠페인은 현재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활발히 시행 중인 심장이식을 중심으로 그리하여 우리는 누군가의 별이 되고 누군가의 꽃이 된다슬로건을 내걸고, 축제를 찾은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에게 국내 장기기증 현황과 필요성에 대해 홍보하고 장기기증 참여를 독려했다.


학생회는 스토리 있는 캠페인을 위해 100개의 예쁜 토끼 인형과 빨간 심장 모양의 배지를 준비했다. 심장이식이 필요한 인형에게 참가자가 직접 하트모양의 배지를 달아줌으로써 장기 기증자의 역할과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도록 했다. 또 곰돌이에게 심장을 준 참가자는 인형을 안아주면서 사랑과 감동을 나누는 시간도 가졌다.


박현빈 의대학생회 회장은 이식을 기다리는 수많은 환자들에 비해 낮은 장기기증률이 세계적으로 문제이다. 생명의 존엄성을 실천하는 의학도로서 우리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장기기증과 이식을 널리 알리고 인식 전환에 기여하고자 생명나눔 캠페인을 기획했다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학생들의 작은 노력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동참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캠페인은 계명대 동산병원, ()생명잇기, 한국장기조직기증원 등 장기기증 활성화에 앞장서는 다양한 기관들의 후원으로 마련되었다. 의대학생회는 오는 18일 의과대학 축제기간에도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계명대 동산병원은 지난해 3월 대구?경북 최초로 심장이식을 성공한데 이어 현재까지 21건의 수술을 시행해 새 생명 탄생에 앞장서고 있다. 또 지역 최초의 신장이식과 뇌사자 간이식 9건 등 이식치료가 활발하고, 세계 평균을 웃도는 높은 생존율을 기록하며 국내 장기이식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네팔 LRI School 중고등 학생과 교사들 동산의료원 방문


달서구 경원고등학교와 자매 결연 중인 네팔 LRI School 학생들이 동산의료원을 방문하여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달서구 경원고등학교와 자매 결연 중인 네팔 LRI School 학생들이 동산의료원을 방문하여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9일 오후에는 달서구 경원고와 자매결연 중인 네팔 LRI School 중고등학생과 교사 등 40명이 9일 오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을 방문해, 주한네팔 명예영사인 윤성도 교수를 만나고 국제의료센터와 의료선교박물관을 견학했다.


대학생들과 중,고등학생들이 함께 하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행복 나눔의 현장을 통해 생명 사랑의 소중함과 많은 이들에게 즐거움과 희망을 전해 주는 모습들이 지방에서도 활성화 되고 있음이 매우 바람직스럽다.


지역적으로 낙후된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산의료원과 같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식으로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움직임을 통해 지역간, 계층간 갈등 해소와 지역민을 위한 공감대 형성을 통한 인프라 구축 효과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서로가 조금씩만 먼저 배려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다면 사회경제적으로 힘들고 어려운 일들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창출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