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EO가 공석 중인 KT가 31일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한다. |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KT가 차기 CEO(최고경영자)를 선출하지 못한 가운데 31일 정기주주총회가 개최된다. KT 이사회가 새 수장으로 추천한 인사들이 줄줄이 사퇴한데 이어 사외이사들 마저 연쇄 사퇴, 138년 전통의 기업이 CEO도, 이사도 구성 못하면서 기업지배구조가 일대 위기에 처해 있다.
이와 관련 30일 KT새노조는 성명을 통해 “이 막장극의 주연은 단연 상상초월의 무책임함을 보여준 이사들이지만 시간 끌다 뒤늦게 부랴부랴 수사에 나선 검찰이나, 평소 규제 감독 역할 못 한 정치권도 이 사태의 결정적 조연이었다”고 일갈했다.
CEO가 공백인 비상 상황에서 출범한 박종욱 대행 체제는 향후 기업지배구조 정비, 이사회 구성과 대표이사 선출 등 경영체제 구성에 5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KT새노조는 “지난해 12월 구현모 사장이 무리한 연임을 시도할 때부터 CEO 리스크 발생을 경고해 왔다. 그 종착점이 기업지배구조의 붕괴 직전으로 치닫는데 대해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연임 욕심에 무리한 꼼수를 동원한 구현모 사장이나 뻔히 예견되는 리스크를 외면하고 연이어 낙마할 후보를 선출한 끝에 종국에는 지배구조 붕괴 사태를 초래한 이사들의 책임은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고 성토했다.
이어 “그 결과로 출범한 박종욱 대행체제가 이 비상한 상황에 걸맞느냐에 대해서도 매우 회의적일 수 밖에 없다. 우선 박종욱 이사는 지난 2022년 주총에서 복수 대표이사 후보로 나섰다가 정치자금법 위반이 문제가 되어 낙마한 경력이 있다”며 “결국 지난 1년 KT는 박종욱, 구현모, 윤경림의 연이은 낙마 끝에 다시 박종욱 대행체제를 등장시킨 것이다. 이러니 이권카르텔의 돌려막기란 비판이 안 나올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KT새노조는 주주총회를 앞두고 현 사태를 초래한 책임 규명과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질의서를 공개했다.
KT새노조는 “우선 정기 주주총회에서 차기 대표이사와 공석 중인 사외이사를 뽑지 못하는 상황을 연출하고도 마치 시위라도 하듯 연쇄 사퇴한 이사들의 무책임성에 대해 강력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특히 이권카르텔을 견제하지도 못 하고 정치 외압으로부터 독립 의지도 갖추지 못한 채 집단 사퇴함으로써 장기경영 공백을 방치해 주주 손실을 초래했다”면서 박 대행 측에 답변을 요구했다.
이어 “이 와중에 박종욱 대행은 정관 개정과 후 대표이사를 뽑겠다는데 이는 업무공백 장기화와 주주 손실 확대를 초래할 뿐이다. 더구나 정관개정을 통해 대표이사 기준에서 기업경영경험 중 기업을 빼서 정치 낙하산에 문호를 열어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또한 “이번 사태의 출발이 경영진의 ESG경영으로부터의 이탈이었고 이와 관련 미SEC에 과징금을 합의 납부한 바 있는데 이에 대해 해당 범죄에 연루된 임원들에게 배상 책임을 물을 의향이 있는가?”라며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각종 경영비리 사건에 대해 내부 감사, 검찰 고발 등을 진행할 의향이 있는가?”라고 답변을 요구했다.
끝으로 “정치권 개입 차단 없이 KT의 미래는 없다. 아마도 오늘(31일) 이 자리에 모인 모든 주주들의 공통된 의견일 것이다”며 “KT 대표이사와 이사회 자리를 차지하려는 정치권 낙하산을 차단하자는 결의를 주주총회 참가자 일동의 긴급 결의로 통과시킬 것”을 정식 제안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