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CES 현장서 로봇·AI 현주소 살피고 미래사업 방향 모색

조무정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1 10:35:15
  • -
  • +
  • 인쇄
박지원 그룹부회장 등 경영진과 함께 'CES 2024' 찾아 AI 발전 현황 살펴
AI 데이터센터 증가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SMR, 차세대 에너지 좋은 대안"
▲세계 최대 규모의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4' 현장을 방문한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사진=두산그룹 제공)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AI 발전이 어디까지 왔는지, 전통 제조업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관심 있게 보고 있다. AI 기술과 우리 비즈니스의 연계를 살피고 사업기회를 찾을 것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4 현장을 방문한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10일(현지 시각) 글로벌 기업들의 최신기술 트렌드를 살피고 이 같이 밝혔다.

 

‘Our Planet, Our Future’를 주제로 한 두산 부스를 살펴본 박 회장은 “AI 기술은 IT기업들의 전유물이 아니다”면서 “두산도 이번에 선보인 것처럼 이미 협동로봇, 건설기계 분야에서 AI를 적용한 기술과 제품을 갖고 있고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면서 “다른 모든 사업 분야에서도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이날 박지원 그룹부회장, 스캇박 두산밥캣 부회장,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김도원 ㈜두산 CSO(최고전략부문) 사장 등 그룹 경영진과 함께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24 현장을 찾았다.

박 회장은 이날 웨스트 홀(West Hall)에 위치한 두산 부스를 시작으로 센트럴(Central)홀을 오가면서 AI, 로보틱스, 자율주행, 에너지 분야 중심으로 최신기술 트렌드를 살피고 미래사업 방향을 경영진과 함께 모색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은 AI 기술을 활용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해 작업하는 로봇 솔루션과 무인·전기 소형 중장비를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두산밥캣은 AI 기술을 적용한 무인·전기 굴절식 트랙터 ‘AT450X’를 처음 공개했다. AI가 장애물을 판단해 스스로 경로를 바꾸거나 잡초와 작물을 구분하기도 하는 제품으로 좁고 비탈진 와이너리를 누비며 주행한다.

 

두산로보틱스는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스스로 분류하는 협동로봇 솔루션 ‘오스카 더 소터(Oscar the Sorter)’, 표정을 분석해 그에 맞는 칵테일을 제공하는 협동로봇 등 AI를 적용한 제품을 선보였다.

대형원전 시장에서 검증된 제작역량을 바탕으로 소형모듈원전(SMR) 시장에서 ‘글로벌 SMR 파운드리(Foundry, 생산전문기업)’로 입지를 다지고 있는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CES에서 SMR 스케일 모형을 처음 전시하며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과시했다. 

 

이와 관련해 박 회장은 “AI 발전에 따라 데이터센터 설치가 늘면 자연히 전력 수요도 크게 증가할 텐데 SMR과 같은 차세대 에너지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두산 부스를 둘러본 후 박 회장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기업은 물론 벤츠, 모빌아이, 마그나 등 글로벌 모빌리티 관련 업체를 중점적으로 둘러봤다. 이들 업체에서 박 회장은 두산의 반도체, 전자 소재 사업과 관련 있는 자율주행, 전장 분야의 최신기술 트렌드를 살폈다.

글로벌 시장에서 두산밥캣과 경쟁을 펼치고 있는 중장비 업체들 전시관에서는 배터리 기반의 전동화 장비 개발 현황과 자동화, 지능화 기술 현황을 살폈다. 통신·반도체 부스에서는 AI 시대의 기반이 될 고성능 저전력 컴퓨팅 기술과 초연결 생태계 청사진을 확인했다.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에너지 솔루션 최신기술과 순환경제에 대한 각 기업의 전략도 확인했다.

박 회장은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후 전 산업과 제품에 걸친 AI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첫 대형 전시회인데 앞으로의 경영에 참고할 만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어 좋았다”면서 “더 안전하고 스마트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보다 깨끗한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 혁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두산, CES 2024서 AI 활용 협동로봇 등 차별화된 기술 공개2024.01.09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CES 현장서 로봇·AI 현주소 살피고 미래사업 방향 모색2024.01.11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다이소 물류센터 중 최대 규모 프로젝트 수주2024.01.17
두산에너빌리티, 한국남부발전과 국산 초대형 가스터빈 공급계약 체결2024.01.26
두산에너빌리티, 남부발전과 가스터빈 로터 수명 연장 계약 체결2024.01.30
두산인베스트먼트, 1000억 원 규모 신기술 투자펀드 결성...유망업종 발굴 투자2024.02.08
두산에너빌리티, 금속 적층제조 사업 MOU 체결...조선·방산·우주 등 분야로 확대2024.02.26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서 수소드론·수소연료전지 등 선보여2024.03.06
두산건설,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용인'에 수요자 높은 관심...4일간 1만명 방문2024.03.06
두산에너빌리티 박지원 회장 "K-가스터빈 이어 수소터빈 선도기업 목표"2024.03.08
두산건설,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용인' 청약 경쟁률 13.8대 12024.03.15
두산연강재단, '두산연강 간담췌외과학술상' 시상2024.03.22
두산그룹, '바보의 나눔'에 성금 10억 원 기부...영케어러 등 지원2024.03.26
두산에너빌리티, 중국·캐나다 이어 루마니아 원전 설비 수주2024.05.03
두산밥캣, 신평사 S&P 신용등급 BB+ Stable로 상향..."향후 2년 탄탄" 전망2024.05.01
두산로보틱스, 가반하중·작업반경 업계 최고 수준 '협동로봇' 美 전시회서 공개2024.05.08
두산에너빌리티, 루마니아 원전 설비 수주2024.05.03
박정원 두산 회장, 체코서 원전 수주 지원행사 주관…"해외원전 수주 지원 총력"2024.05.15
두산로보틱스, 독일에 지사 설립...협동로봇 유럽 판매채널 확대2024.05.22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카자흐 대통령과 에너지사업 협력 논의2024.06.13
두산밥캣, 유압부품 전문 기업 '모트롤' 인수 결정..."시너지 창출 기대"2024.06.13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