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김바울 기자] 식자재 유통 전문기업 CJ프레시웨이가 그동안 농가 계약재배 면적을 늘린 결과, 여의도 면적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농가와의 상생 드라이브를 가속화할 계획인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대비 약 3배가량 계약재배 면적을 늘려 여의도 면적의 4배(1,100ha)에 달하는 농지에서 10개 품목을 재배했다.
18일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강릉, 제주를 비롯한 전국 12개 지역, 560여개 농가와 계약재배를 실시해 약 1,200억원 규모의 농산물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특히 쌀을 포함 양파, 딸기, 무, 감자 등 모두 9개 품목을 계약 재배했으며 물량은 연간 약 1만 9천여톤에 달한다.
또한 재배면적 확대에 따라 자연스럽게 계약재배에 참여하는 농가도 800여개로 늘었다. CJ프레시웨이는 이들 농가에서 재배한 작물이 최대 2만8천여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쌀의 경우 전북 익산 지역 250개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연간 5000톤을 소화할 계획이며 무와 양배추도 제주도, 강릉의 고랭지 80개 농가와 손잡고 총 8000톤을 계약재배 할 예정이다.
계약재배로 농가는 판로걱정 없이 안정적인 소득을 기대할 수 있고, 기업은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물량 확보로 상품경쟁력과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 농가와 기업이 상호 윈-윈 할 수 있다.
아울러 계약재배로 유통단계도 대폭 줄어들게 돼 산지의 신선함을 곧바로 식탁에 선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이 유통되기 까지는 5단계 (산지→산지수집상(유통인)→공판장(경매)→제조사(제분과정)→CJ프레시웨이)를 거치는 데 반해 계약재배의 경우 3단계(산지→지역 농업법인→CJ프레시웨이)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산지계약 재배를 통해 확보된 농산물은 CJ프레시웨이 전국 유통망을 통해 시장에 공급되며, 위탁 운영 중인 단체 급식장이나 식품제조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원료나 대형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등의 식재료로 사용된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농가와의 계약재배 등 상생 프로그램은 CJ그룹 전체의 공유가치창출(CSV)활동 철학으로 앞으로도 농가와의 산지 계약재배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