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newsis)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홈플러스 부도 사태가 악화되는 가운데, 노동자와 시민사회는 메리츠금융그룹(이하 메리츠)에 담보권 실행 계획을 철회하고 회생과 상생에 협력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지난 5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메리츠는 홈플러스 60여 개 점포에 대한 담보권 실행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회생 과정에 협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최근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메리츠의 담보권 실행 검토 소식에 대해 “이는 단순한 금융 행위가 아니라, 투기자본 MBK 김병주의 먹튀 청산 시나리오에 메리츠가 공범으로 나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1조 2000억 원의 대출 회수를 명분으로 60여 개 점포에 대한 담보권 실행을 검토하는 메리츠는, 홈플러스 해체의 칼자루를 쥐고 흔드는 역할을 자처하는 셈”이라며 “이는 10만 노동자와 수많은 입점업주의 생존권을 짓밟는 행위이며, 지역경제를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사회적 살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실제로 홈플러스는 MBK의 인수 이후 구조조정과 점포 축소가 반복되며 '매각을 위한 청산 작업'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왔다. 여기에 메리츠가 채권 회수를 명목으로 담보권을 실행하면 수십 개 점포가 헐값에 처분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고용 축소와 지역 경제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대책위의 주장이다.
대책위는 메리츠를 향해 “MBK의 공범으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대한민국 경제와 노동자의 삶을 지키는 책임 있는 금융기관으로 남을 것인가”라고 질문하며 선택을 촉구했다.
이어 “특히 담보권 실행을 통한 청산 유도는 결국 국민과 지역사회에 고스란히 피해를 전가하는 것”이라며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인 만큼, 메리츠는 이를 지켜보며 상생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만약 메리츠가 담보권 실행을 강행한다면, 노동자와 시민사회는 끝까지 저항할 것이며, 메리츠의 무책임한 탐욕을 국민 앞에 고발할 것”이라고 강력하게 경고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국내 대표 대형마트 중 하나로, MBK파트너스가 2015년 인수한 이후 현재까지도 대규모 점포 구조조정과 매각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업 문제가 아닌, 유통 산업 전반의 구조와 노동자의 권리를 둘러싼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