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모비스가 최근 3년간 지급한 협력사 구매대금이 15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모비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속가능성보고서 2025’를 발간했다. (사진=현대모비스 제공) |
[일요주간 = 엄지영 기자] 현대모비스가 최근 3년간 협력사에 지급한 구매대금이 약 150조 원에 달하며, 같은 기간 국내외 협력사 수 역시 3682개(2022년)에서 4108개(2024년)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모비스의 기술혁신과 사업체질 개선이 가치사슬 내 상생과 동반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속가능성보고서 2025’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2010년부터 매년 발간 중인 이 보고서는 경제·사회·ESG 전반에 걸친 경영 성과를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동반성장 문화 조성, 지속가능 환경 조성, 소통과 신뢰’ 등 4대 동반성장 전략을 중심으로 상생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최근 5년간 연구개발(R&D)에 약 7조 원을 투자하며 미래 모빌리티 시장 ‘글로벌 톱 플레이어’ 도약에 집중했다. 덕분에 지난해까지 누적 특허 출원 9155건을 기록했고, 올해 1만 건 돌파를 앞두고 있다. 어려운 대내외 경영환경 속에서도 지난해 연매출 약 57조 원을 넘어서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매출 증가와 사업 외연 확장은 협력사 동반성장으로 자연스레 연결됐다. 최근 3년간 글로벌 완성차를 대상으로 한 수주가 160억 달러(약 22조 원)를 돌파하면서, 협력사 대상 구매 규모가 크게 늘어난 것이 주된 배경이다.
현대모비스는 2·3차 협력사까지 포함하는 세분화된 지원 정책을 수립해 상생 펀드, 상생 협력 대출 등 금융 지원뿐 아니라 무상 특허 개방, 공동기술개발, 개발비용 지원 등 기술 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ESG 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 저감, 안전 설비 구축, ESG 컨설팅, 리스크 점검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또한 이번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는 글로벌 ESG 공시 기준에 맞춰 이중 중대성 평가를 도입하고, 사회·환경 영향과 재무성과 영향을 동시에 분석했다. 가치사슬 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도 강화해 지난해 CEO Investor Day에서 공개한 밸류업 4대 전략과 주주환원 정책을 특집 페이지로 소개했다.
‘현대모비스 지속가능성보고서 2025’는 현대모비스 공식 홈페이지 내 지속가능경영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