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하나은행 제공)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하나은행이 소비자 리스크관리 체계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며, 투자성 상품의 판매 전후 리스크 관리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19일,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이번 특허는 고위험 금융상품의 사전·사후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독자적인 시스템 기술이 핵심으로,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이후 강화된 소비자 보호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로 평가된다.
하나은행은 이 특허를 기반으로 금융소비자의 투자 안정성과 금융상품 관리기관의 운영 안정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했다. 특히 고위험 상품에 대한 편중 판매를 사전에 방지하고, 소비자 맞춤형 리스크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특허 기술이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에 취득한 '소비자 리스크관리 특허'는 투자성 상품에 내재된 시장환경, 신용·운영 리스크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사전 점검하는 것은 물론, 판매 이후에도 고객과 금융상품 제조·판매 금융회사 등 전방위적인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는 관리 체계다. 이를 통해 금융소비자의 투자 안정성을 확보하고, 금융기관의 책임 있는 상품 판매 문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은행은 해당 기술을 통해 '투자성 상품의 제조·선정·판매 단계에서의 위험 요인 점검', '판매 후 이상 징후 탐지', '개별 고객 리스크 모니터링', '제조·판매사 리스크 점검', '위기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확산 방지를 위한 능동적 위기 대응 체계' 등을 갖추고 소비자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정준형 하나은행 소비자보호그룹장은 “이번 특허 취득을 통해 하나은행 소비자 리스크관리 체계의 우수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는 혁신 기술의 지속적 개발을 통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위험 투자 상품과 관련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021년 금융권 최초로 소비자 관점에서 보유 자산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인 '소비자 리스크관리'를 도입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소비자 리스크관리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후 다양한 소비자 보호 및 리스크 관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이번 하나은행의 특허 기술을 중심으로 소비자 리스크관리 체계를 전 그룹사로 확대하고, 이를 통해 그룹의 미션인 '함께 성장하며 행복을 나누는 금융'을 실현해 나갈 방침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