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 이은화 작가 시 읽기③] 바닥

이은화 작가 / 기사승인 : 2025-02-13 13:29:33
  • -
  • +
  • 인쇄
바닥
시인 이은하
바닥

이은화

한 번쯤 이쯤일까
되묻고 싶을 때가 있지
지나고 보면
이쯤이란
마지막 숨을 몰아쉬던 자리
우리는 이미 알고 있지
딛고 있는 자리가
수렁의 꽃술이라, 허우적댈수록
활짝 핀다는 것을
마지막 고비라고 눈 감을 때가
비로소
숨꽃 트이는 자리라는 것을
하지만
몰아쉬던 숨 풀어놓을 곳이
이쯤이라면
이제 답 찾는 일 접어두고
연애나 하고 싶다
땅에 발 딛고 살아가는 일
수렁이라도, 피는 꽃은 아름다울 테니!

 

▲ 이은화 작가

[일요주간 = 이은화 작가] ( 시 평론) 여러분이 서 있는 자리는 어떤가요? 평평하고 따뜻한가요 아니면 고산의 벼랑 끝이거나 진흙이 발목을 잡는 곳일까요. 살며 겪는 고비 앞에서 한 번쯤 목 놓아 울고 싶은 자리, 나만의 울만 한 자리 찾지 못해 우리, 속울음 삼킨 적 있을 거예요.


한때 저는 「바닥」의 시를 외면하고 싶을 때가 있었지요. 도심 높이 솟은 고층 아파트와 낮은 집들 보며 편히 등 기대고 누울 자리 한 곳 구하지 못한 소외와 노력할수록 상처받는 유리감에서 오는 우울이 오히려 안식처럼 느껴지던 시간들. ‘불안을 빼앗지 마라/ 나는 우울 안에서 안전하다/ 울음을 빼앗지 마라/ 나는 울음 안에서 행복하다// 우울은 행복이라는 역설의 꽃’이란 행들을 위로로 삼던.

옛 어른들께서 평범하게 사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했던가요. 제 삶과 주위를 돌아보면 맞다, 고개 끄덕여져요. 그래도 우리 지금껏 잘 견뎌 왔잖아요. 딛고 있는 이 자리 힘들다고 주저앉기에는 속상하잖아요. 무언가를 또는 누군가를 원망하는 일은 더 마음 아프잖아요.

한 가정의 가장으로 어머니로 살 에듯 고통스러울 때 눈 감고 생각해 보면 ‘딛고 있는 자리가/ 수렁의 꽃술이라, 허우적댈수록/ 활짝 핀다는 것을’ 경험한 적 있을 거예요. 이 경험을 통해 우리는 ‘마지막 고비’를 ‘숨꽃 트이는 자리’로 만드는 준비된 힘이 내 안에 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거예요.

봄이 오고 있어요. 저는 한때 제 삶과 대비되는 봄이 무척 슬펐어요. 하지만 눈먼 처녀가 봄 오는 소리에 귀 기울이듯 감각을 열자 본연의 나를 만날 수 있었지요. 올해는 함께 봄을 맞는 건 어떨까요. 그 길목에서 내적 자아와 만날 수 있을 거예요. 잘 살아왔다, 등 다독여 주는 내 안의 나를 만날 수 있을 거라 믿어요. 선인들이 무언가 하나씩 다져놓고 간 길 위에서 ‘발 딛고 살아가는 일/ 수렁이라도, 피는 꽃은 아름다울 테니!’ 말이에요.

우리, 잘살고 있다. 잘 살아왔다는 위로받을 자격 충분하잖아요. 올봄 여러분과 손잡고 앙리의 ‘춤’ 출 수 있길 희망해도 될까요. 이 계절만큼은 삶의 무게 슬쩍 내려놓고 온전히 자신만을 위해 원시적인 봄을 만나보는 일 신날 거예요. 봄! 봄과 연애하는 마음으로 말이에요.

 

※ 이은화 서울예술대학 졸업. 시집 『타인과 마리오네트 사이』가 있음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1

키르케고르님 2025-02-23 00:49:39
삶이란 흔들리기에 더욱 값지고 찬란한 것 아닐까요? 고난과 역경속에서도 우직하게 버티는 우리 모두 행복해졌으면 합니다.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