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SK하이닉스 등과 함께 지역사회 공헌...'기업-농촌' 상생협력 모델 구축

엄지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8 09:56:50
  • -
  • +
  • 인쇄
기업과 농촌의 협력적 연대…지속 가능한 지역 교류
에코프로 사업장 내 청주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 운영
▲ 에코프로는 청주시청에서 '기업-농촌, 상생협력사업' 협약식을 체결했다. (사진=에코프로 제공)


[일요주간 = 엄지영 기자] 에코프로가 청주시와 SK하이닉스 등과 함께 기업과 농촌 간 상생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를 개최하는 등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에코프로는 청주시청에서 이범석 청주시장, 최상운 에코프로 부사장, 이일우 SK하이닉스 부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기업-농촌, 상생협력사업’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청주시와 에코프로는 기업과 농촌 간 상생과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다음 달 19일 에코프로 오창 본사에서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제철 농산물인 사과, 고구마, 버섯 등의 지역 농산물이 판매될 예정이다.

에코프로 임직원들에게는 추석 연휴 전에 신선한 지역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청주시 지역 농가에는 안정적인 판로 확보 및 매출 확대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코프로는 지난해 7월 오창농협과 기업-농촌 업무협약을 맺어 충북쌀 소비 촉진을 위한 활동에 나서는 등 지역 농촌 지원 활동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청주의 기업과 농촌이 상생하고 발전하기 위한 이번 업무협약이 성공적으로 이행돼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조성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상운 에코프로 부사장은 “에코프로는 청주시에 본사를 둔 만큼 청주시와 협력적 연대 관계 조성에 기여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교류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에코프로, 포항 지역사회와 상생 위해 성금 1억 6천만 원 기부2024.05.30
에코프로, 현대글로비스와 폐배터리 재활용 MOU...'기술력+물류' 경쟁력 강화2024.06.04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삼성SDI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국내외 생산 거점 확대2024.06.12
에코프로, 유럽 인터배터리 전시회 참가... 기술 경쟁력 홍보 나선다2024.06.17
에코프로, 사회공헌 보고서 첫 발간...창업주 사회공헌 철학 반영2024.07.25
에코프로, 저출산 극복 위해 육아용품 '마더박스' 지원2024.07.27
에코프로, 1분기 흑자 전환…유럽 전기차 시장 등 해외사업 가속화2025.05.05
에코프로, 폭염 대비 근무환경 개선 나서2025.07.27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 후보 공모…에너지·환경 분야 인재 발굴 나서2025.07.21
에코프로이노베이션, SK온에 수산화리튬 첫 공급…전기차 10만 대 분량2025.07.17
에코프로, AI혁신실 신설…전사적 AI 경영 본격 시동2025.07.15
에코프로그룹 CEO, 온라인 설명회·현장 간담회로 위기 타개 의지 다져…"동심동덕으로 함께 극복"2025.06.22
에코프로, 포항 취약계층 위한 혹서기 맞춤 나눔 활동 진행2025.06.30
에코프로, 2분기 매출·영업익 3분기 연속 성장…인니 투자 성과 본격화2025.08.06
에코프로비엠, 2분기 영업익 490억…ESS·EV 양극재 판매 호조2025.08.05
폐배터리 재활용부터 양극재까지...에코프로-SK온, '미래 먹거리' 순환 밸류체인 완성2025.08.25
에코프로, SK하이닉스 등과 함께 지역사회 공헌...'기업-농촌' 상생협력 모델 구축2025.08.28
배터리 종주국 뛰어넘은 '기술 담금질' 에코프로 NCA, K배터리 시장 선봉에 서다2025.08.18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