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110일..."23명 이주노동자 죽음으로 몰고 간 박순관 대표이사 국회 국정감사 증인 채택 촉구"
![]() |
▲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와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는 지난 10일부터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아리셀의 모회사 에스코넥 앞에서 무기한 농성 투쟁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 제공)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이주노동자 최대의 집단 산재참사로 아리셀에서 23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참사가 발생한 지 110일이 됐으나 아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22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박순관 대표이사를 국정감사로 채택하지 않았다. 23명의 죽음에도 정치적 계산만 하고 있는 국회를 규탄한다.”
아리셀 참사 110일째 되는 지난 1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정혜경 의원과 아리셀 산재피해가족협의회,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대책위원회는 국회 소통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순관 대표이사 국정감사 증인 채택을 요구하며 이같이 목소리를 높였다.
◇ "아리셀 참사 이후 노동부, 대책은커녕 이주노동자 산재 예방 전담 부서 설치조차 없어...제2, 제3의 아리셀 또다시 반복될 것"
이날 정혜경 의원과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대책위원회 등은 “박순관은 에스코넥, 아리셀 두 개 회사의 대표이사로 있으면서 사실상 에스코넥의 한 부서처럼 아리셀을 운영해 왔다”며 “쪼개기 경영으로 회사를 분리한 박순관은 중대재해가 발생하자 아리셀은 정리 수순으로, 에스코넥은 대표이사직 사임으로 꼬리 자르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몇 달만 버티면 김앤장 로펌이 박순관을 처벌에서 빼 내오고 삼성전자 납품으로 팽팽 돌아가는 에스코넥을 살려 다시 또 회생할 것”이라며 “피해자 유족들의 피눈물 나는 투쟁에도 제2, 제3의 아리셀은 또다시 반복될 것”이라고 우려를 드러냈다.
그러면서 “아리셀 참사 이후 노동부는 참사의 근본 원인인 만연한 불법파견, 위험의 이주화, 화학폭발사고 대책은커녕 이주노동자 산재 예방 전담 부서 설치조차도 없다”며 “국회가 증인 채택도 없이 국정감사가 끝나면 정부는 아리셀 참사 대책의 흔적조차 지울 것”이라고 일갈했다.
![]() |
▲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와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는 지난 10일부터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아리셀의 모회사 에스코넥 앞에서 무기한 농성 투쟁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 제공) |
이들 단체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에 이어 아리셀과 에스코넥 모두 불법파견이 드러났고 지난 10일 군납 배터리 비리 조작이 밝혀져 다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며 “그러나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돈벌이에 눈이 멀어 23명 노동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아리셀 박순관 대표이사를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더욱이 증인 채택 불발이 여당이 민주당 소속 화성시장을 부르겠다고 해 불발됐다”고 전하며 “23명의 죽음에도 정치적 계산만 하고 있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강력하게 규탄하며 23명 아리셀 참사의 주범 박순관 대표이사를 국정감사 증인으로 즉각 채택하라”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그러면서 “더욱이 박순관 대표이사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으로 구속 기소됐으나 피해자 유족들에게 진정한 사과는커녕 교섭을 거부하고 있다. 소기업 아리셀은 정리 수순에 들어가고 모기업 에스코넥의 대표직은 사임하는 등 꼬리 자르기, 배 째라 식의 태도로 일관하면서 아리셀과 한 몸인 에스코넥의 책임을 회피하는 데만 골몰하고 있다”며 “피해자 유족들은 110일 동안 장례도 치르지 못하고 피눈물을 흘리며 에스코넥 본사 앞에서 농성을 지속하고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 아리셀 참사 유가족, 에스코넥 앞서 무기한 농성투쟁 돌입
한편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와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는 지난 10일부터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아리셀 모회사 에스코넥 앞에서 무기한 농성 투쟁을 진행 중이다.
이날 유가족들은 “이번 투쟁에서 에스코넥 경영진의 성실한 교섭과 진정한 사과가 있을 때까지 무기한 투쟁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리셀 및 아리셀 지분의 96%를 소유한 모기업 에스코넥은 지난 6월 24일 발생한 중대재해 참사 이후 유가족에게 단 한 번의 사과도 없었다”며 “현재까지 성실한 교섭에도 나서고 있지 않다. 7월과 9월 두 차례 사 측과 아리셀중대재해참사대책위와의 만남이 있었으나 원론적인 대화만 이어갈 뿐 양 측의 입장 차는 전혀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 |
▲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와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는 지난 10일부터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아리셀의 모회사 에스코넥 앞에서 무기한 농성 투쟁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 제공) |
그러면서 “그 사이 박순관 아리셀·에스코넥 대표와 박중언 아리셀 본부장의 민낯이 경찰 및 노동부 수사 결과 드러났고 그들은 마침내 구속 기소됐다”며 “검찰은 명백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을 분명히 했고 ‘이윤추구를 위한 최악의 참사’라고 표현, 노동사회의 일대 획을 그었다”고 전했다.
김태윤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아리셀 참사의 주범은 에스코넥”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며 “에스코넥은 유가족들에게 진정한 사과와 합당한 배보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왜 에스코넥인가?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와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아리셀은 에스코넥의 전지 사업 부분으로 출발했다. 에스코넥은 아리셀에 설립 당시 50억 원을 투자한데 이어 매년 차입금을 지급했다. 현재까지 에스코넥이 아리셀에 보낸 차입금은 무려 155억 원에 달한다.
또한 에스코넥은 아리셀에 차입뿐 아니라 지급보증 100억 원 규모의 외부 투자도 유치했다. 에스코넥은 아리셀에 운명 자금으로 빌려준 돈 155억 원 가운데 60억 원을 지난해 출자 전환하면서 아리셀은 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났다. 아리셀 설립 당시 에스코넥 지분율 66.7%였던 것이 최근에는 96%로 급증했다.
이 외에도 에스코넥이 아리셀에 대한 재무관리 및 실질적인 경영을 했다는 것은 에스코넥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이들 단체의 설명이다.
이들 단체는 “참사 이후 박순관 대표가 에스코넥으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우려 최근 에스코넥 대표이사직을 사임했지만 이는 꼼수에 지나지 않는다”며 “수원지방법원에서 진행된 영장실질심사에서 검사는 박순관 대표의 SNS 내용을 공개하며 박 대표는 스스로 자신이 아리셀의 주인이라고 말한 바 있다”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