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새마을금고 제공)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마을금고의 추억, 우리 모두의 역사로’ 슬로건으로 내걸고 대국민 유물 기증 캠페인을 통해 국민과 함께 새마을금고의 반세기 역사를 기념할 유물을 수집하고 보존해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계승하기 위해 나섰다.
30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이번 캠페인은 대한민국 서민금융의 뿌리를 이룬 새마을금고의 역사를 국민과 함께 되돌아보고, 관련 유물을 수집해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보존·공유하기 위한 취지다.
캠페인은 새마을금고역사관 주도로 진행되며, 새마을금고의 창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반세기가 넘는 역사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을 기증받는다. 주요 수집 대상은 ‘1960~80년대 옛 통장과 가계부’, ‘저축 장려 포스터·표어·월급봉투’, ‘각종 회의록과 활동사진’, ‘과거 사용된 주판, 금고, 간판’ 등 보존 가치가 있는 자료들이다.
기증된 유물은 새마을금고역사관에 영구 보존되며, 기증자에게는 감사패 수여, 기증 유물 특별전 개최, 도록 발간, ‘기증자 명예의 전당(가칭)’ 등재, 주요 행사 초청 등 다양한 예우가 제공될 예정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기증 유물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최근 기탁받은 ‘좀도리 단지’의 경우, 근검절약과 상부상조라는 새마을금고의 핵심 가치를 상징하는 유물로 평가돼, 국가유산청의 ‘예비문화유산 발굴 공모전’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다. 새마을금고 측은 이를 통해 기증 유물이 단순히 보관에 그치지 않고,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승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새마을금고의 역사는 한 기관의 기록이 아닌, 어려운 시절을 함께 견뎌낸 우리 모두의 이야기”라며 “서랍 속에 잠들어 있던 소중한 추억들이 우리 공동체의 귀중한 역사로 되살아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유물 기증과 기탁을 원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새마을금고역사관 이준현 학예사를 통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