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LG 제공) |
[일요주간 = 엄지영 기자] LG AI연구원이 AI 모델 개발을 넘어 실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생태계 수준으로 진화한 ‘엑사원(EXAONE)’ 기술을 공개했다. 이로써 LG는 AI 전환을 통해 바이오, 금융 등 전문 영역을 넘어 미래 산업 전반을 선도하겠다는 비전을 분명히 했다.
LG AI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개최하고, 자사의 독자 AI 모델과 서비스,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엑사원 생태계’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날 행사에서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 겸 CSAI(최고 AI 과학자)는 최근 공개된 ‘엑사원 4.0’과 정밀 의료 AI ‘엑사원 패스 2.0’을 중심으로 LG의 차세대 파운데이션 모델 전략을 설명했다.
‘엑사원 4.0’은 국내 최초의 하이브리드 대규모 언어 모델(LLM)로, 일반 LLM과 추론 특화 모델을 결합해 기존 모델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기존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정밀 의료 특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LG는 복잡한 전문 문서, 이미지, 심지어 분자 구조식까지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 ‘엑사원 4.0 VL(Vision Language)’을 최초로 공개했다. 해당 모델은 메타(Meta)의 Llama 4 Scout보다 우수한 성능을 기록했으며, “엑사원 4.0 VL은 엑사원의 눈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이홍락 연구원장은 강조했다.
최정규 LG AI연구원 AI에이전트그룹장은 내부 검증을 마친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ChatEXAONE)’과 함께, 데이터 생산 플랫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EXAONE Data Foundry)’, 독립 실행형 AI 인프라 ‘엑사원 온프레미스(EXAONE On-Premise)’ 등을 소개했다.
최 그룹장은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해, 보안이 중요한 기업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엑사원 4.0 공개 이후 모델 라이선스 범위를 교육 목적으로 확대해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일종의 AI 기반 데이터 공장으로,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해야 할 데이터를 단 한 명이 하루 만에 생산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LG는 실증 사업을 통해 데이터 생산성이 최소 1,000배 향상되고, 품질은 평균 20% 이상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구축한 기업 전용 풀스택(Full-Stack) AI 솔루션으로, 외부와의 연결 없이 기업 내부 시스템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해 높은 보안성을 자랑한다.
이날 행사에는 LG AI연구원과 협업 중인 국내외 전문가들도 참석해 AI가 전문가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공유했다.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AI를 활용한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을 소개하며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를 뛰어넘는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LG와 함께 만들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아르만 사호비치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 아태지역 데이터 플랫폼 설루션 총괄은 LG와 함께 개발 중인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소개했다. 해당 서비스는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자 자산의 수익률 방향성을 예측하고, 투자 보고서를 자동 생성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LG AI연구원은 2020년 12월 설립 이후 국내 AI 산업의 혁신을 선도해왔다. 2021년에는 AI 영어 독해 경진대회 ‘스쿼드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기술력을 입증했고, 같은 해 12월 국내 최초 멀티모달 AI 모델 ‘엑사원 1.0’을 발표하며 파운데이션 모델 독자 개발을 시작했다.
2022년에는 세계 최초로 AI와 인간 디자이너가 협업한 작품을 뉴욕 패션위크에 선보였고, 뉴욕 페스티벌 광고제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창의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2023년에는 유네스코와 국내 최초로 AI 윤리 실행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글로벌 AI 윤리 거버넌스를 주도했고, 2024년 8월에는 국내 최초 오픈소스 연구용 모델 ‘엑사원 3.0’을 공개했다. 이어 공개된 ‘엑사원 3.5’는 국내 모델 중 유일하게 스탠퍼드대 AI 보고서에 포함되며 세계적 인정을 받았다.
2025년 3월에는 국내 최초 추론 특화 모델 ‘엑사원 딥’을, 7월에는 하이브리드 모델 ‘엑사원 4.0’을 공개하며 ‘최초’와 ‘최고’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이 모델들의 다운로드 합계는 500만 건을 돌파하며, 국내 AI 기업 중 최다 기록을 세웠다.
이홍락 연구원장은 “에이전틱 AI의 진화는 곧 현실 세계를 바꾸는 기술인 피지컬 AI로 연결된다”며, “AI가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실제 환경을 바꾸는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LG AI연구원은 앞으로도 산업의 경계를 허물고, 세계 AI 생태계 속에서 한국의 기술력을 선도하기 위한 도전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