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자동차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디 올 뉴 넥쏘(The all-new NEXO)’와 ‘더 뉴 아이오닉 6(The new IONIQ 6)’를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현대자동차는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보도 발표회를 통해 차세대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The all-new NEXO)’와 전용 전기차 ‘더 뉴 아이오닉 6(The new IONIQ 6)’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고성능 N 모델에 이르는 친환경차 풀라인업을 선보이며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시대를 향한 비전을 제시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COO는 “현대자동차의 혁신 DNA를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며 “고객 중심의 상품성과 품질로 전동화 시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 최초 공개된 차세대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이날 공개된 ‘디 올 뉴 넥쏘’는 2018년 첫 출시된 이후 7년 만의 풀체인지 모델로 현대차의 수소 비전을 구체화한 상징적인 차량이다. 현대차는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 디자인 언어를 바탕으로 SUV 특유의 강인함과 수소차만의 독창성을 융합해 독보적인 외관을 완성했다.
차량 전·후면 램프에는 수소의 분자식(H2)에서 영감을 받은 ‘HTWO 램프’가 적용돼 정체성과 기술력을 강조했고 실내에는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드미러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됐다. 또한 바이오 기반 소재와 재활용 원단을 내·외장재에 적용해 친환경 가치를 구현했다.
성능 면에서는 최고 출력 150kW의 2-스테이지 모터 시스템을 적용해 효율과 주행 성능 모두를 향상시켰으며 0→100km/h 가속 시간은 7.8초에 불과하다. 한 번 충전으로 약 7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며 전국 수소충전소와 연계한 ‘루트 플래너’ 기능도 탑재했다.
디 올 뉴 넥쏘는 OTA(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듀얼 스마트폰 무선 충전, 빌트인 캠 2 플러스, 디지털 키 등 첨단 편의사양과 함께 총 9개의 에어백과 다양한 주행 보조 시스템을 갖춰 최고 수준의 안전성과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 ‘더 뉴 아이오닉 6’ 및 ‘N Line’ 디자인 첫 공개
현대차는 함께 공개한 ‘더 뉴 아이오닉 6’와 ‘더 뉴 아이오닉 6 N Line’ 디자인을 통해 전동화 세단의 새로운 기준도 제시했다.
기존의 ‘일렉트리파이드 스트림라이너’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날렵하고 매끈한 실루엣으로 진화했으며 샤크노즈 형상의 전면부와 공력 성능을 고려한 덕 테일 스포일러 등이 특징이다. N Line 모델은 ‘RN22e’ 콘셉트카의 스포티한 감성을 반영해 공격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조했다.
실내는 ‘마인드풀 코쿤(Mindful Cocoon)’ 콘셉트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개선됐다. IMG 공법을 적용한 고급 내장 소재와 개선된 센터 콘솔 구성이 직관성과 고급감을 동시에 갖췄다.
◇ 전시관 통해 수소와 전기차를 ‘쉽고 재미있게’ 체험
현대차는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참가 브랜드 중 가장 큰 규모인 2,600㎡(약 787평)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수소와 전기차를 각각 ‘쉽게’와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관을 구성했다. △수소 생태계를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낸 ‘H2 존’ △전기차 서비스 전반을 캐릭터와 게임 요소로 소개하는 ‘EV 존’ △전체 친환경차 라인업을 소개하는 ‘라인업 존’ △현대차 굿즈와 커스터마이징 상품을 체험할 수 있는 ‘현대 스토어’ 등 4개 테마 존을 운영한다.
특히 ‘H2 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W2H(Waste to Hydrogen)’ 기술을 인터랙티브 콘텐츠로 선보였으며 ‘EV 존’에서는 레트로 게임, 시승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전기차의 주요 특장점을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대차관에서 수소와 전동화를 필두로 한 다양한 전시와 체험 요소를 통해 자사의 현재와 미래 방향성을 공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